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코인 투자 중급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 정리

by 안다미로_ 2025. 4. 6.

코인차트

 

초보 단계를 벗어나 어느 정도 실전 투자 경험이 쌓였다면,

이제는 더 깊이 있는 개념과 시장 흐름을 이해해야 할 시점입니다.
오늘은 코인 중급자를 위한 핵심 개념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온체인 데이터 (On-chain Data)

온체인 데이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된 모든 거래 정보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거래량(Volume) – 네트워크 내 코인의 이동량
  • 활성 지갑 수 – 사용자의 활동성 추정 가능
  • 고래 지갑 활동 – 대형 투자자의 움직임 확인

💡 예시: 이더리움의 온체인 거래량이 급증하면 수요 증가로 가격 상승이 기대될 수 있음

2️⃣ 디파이(DeFi)와 TVL

디파이(DeFi)는 중앙 기관 없이 블록체인 위에서 금융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입니다.
이 때, TVL(Total Value Locked)은 디파이 프로토콜에 예치된 자산 총량을 의미하며,

해당 플랫폼의 성장성과 신뢰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예시: AAVE, Curve, Uniswap의 TVL 비교 분석을 통해 어느 프로토콜이 인기가 높은지 파악 가능

3️⃣ 펀딩비(Funding Rate)

펀딩비는 선물 시장에서 롱(매수)과 숏(매도) 포지션의

수요 차이를 조정하기 위한 수수료 개념입니다.
펀딩비가 양수일 경우 롱 포지션이 많고, 음수일 경우 숏 포지션이 우세합니다.

  • 양수 펀딩비 = 숏 → 롱에게 비용 지급
  • 음수 펀딩비 = 롱 → 숏에게 비용 지급

📌 이를 통해 시장의 심리를 엿볼 수 있으며, 포지션 진입 타이밍을 잡는 데 활용됩니다.

4️⃣ 오더북 & 스프레드

중급자라면 오더북(Order Book)을 읽을 수 있어야 합니다.
오더북은 실시간으로 매수/매도 호가가 나열된 창으로,

매수벽/매도벽, 스프레드(호가 간격)

등을 분석해 시장 유동성과 매수세/매도세를 파악합니다.

  • 스프레드가 좁다 → 유동성이 높음
  • 매도벽이 두껍다 → 저항선 강함

5️⃣ 기술적 분석 지표 활용

중급자는 차트를 볼 줄 알아야 합니다.

기본적인 지표 외에도 다음과 같은 중급 지표 활용이 필수입니다.

  • MACD – 추세의 전환 시점을 알려줌
  • Bollinger Bands – 변동성 분석에 효과적
  • RSI + 거래량 조합 – 과매수/과매도 시점 포착

또한 패턴 분석(쐐기형, 깃발형, 헤드앤숄더 등)

통해 추세 반전 구간을 예측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6️⃣ 트레이딩 전략의 다양화

단순히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는 전략은 초급 수준입니다.
중급자라면 전략을 포지션별, 시간별, 시장상황별로 나눠서 구사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스캘핑 (단타)
  • 스윙 트레이딩 (중기 보유)
  • 시장 중립 전략 (롱숏 병행)

또한 손절, 익절, 리스크 관리까지 체계적으로 세워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7️⃣ 마켓 구조 이해

코인 시장은 변동성이 크고, 전통 금융과는 다른 마켓 구조를 가집니다.

  • 현물: 실물을 사고 파는 시장
  • 선물: 미래 가격에 대한 계약 (레버리지 가능)
  • 옵션: 특정 조건에서 매수/매도할 수 있는 권리

이들 각각의 구조를 이해하고, 어떤 마켓에 자금을 투입할지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 마무리하며

코인 투자는 리스크가 크지만, 그만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초보 단계를 벗어났다면, 단순한 가격 변동보다는

시장 심리, 온체인 분석, 기술적 분석 등 더 다양한 도구와 데이터를 활용해야 합니다.

“정보가 곧 수익이다”는 말이 있습니다.

오늘 소개한 개념들을 바탕으로, 여러분만의 전략을 세워보시길 바랍니다.